Logo

사업영역

사전 예방부터 신속한 복구까지, 방재안전기술원이 함께합니다.

사업영역

사전 예방부터 신속한 복구까지, 방재안전기술원이 함께합니다.

Disaster R&D

위기의 순간에도 믿고 의지할 수 있는 국민의 든든한 방재 파트너, 

(주)방재안전기술원입니다.

돌발홍수 안전진단시스템 (한국토지공사)

  • 기존의 정적인 하수관망해석 기법에서 벗어나 단지내의 지표수의 거동과 하수관망 거동을 동시에 해석 가능한 돌발홍수 안전진단시스템을 개발
  • 개발된 돌발홍수 안전진단시스템을 지형정보시스템(Geographic Information System, GIS)과 단지설계시스템과 연계 모의하여 현재 하수관망해석기법에 대한 문제점 및 개선방안을 제시

극한호우 지하가 침수진단모형 (삼성건설)

  • 계획 규모 이상의 극한 호우가 발생하면, 관거 통수능부족으로 인한 우수범람 및 지하가 침수는 필연적임 
  • 극한호우가 야기 시키는 침수특성, 즉 침수범위, 침수심, 침수지속시간 등에 대한 고찰을 통하여, 상황 별 침수특성, 피해경감대책의 효과, 건물 내 침수전파상황 등을 검토, 이에 대한 경감대책 및 대피기준을 수립하기 위한 기술을 개발 
  • 본 기술은 국내에서는 처음으로 시도 및 구축되는 최신 도시홍수 방재기술임 
  • 향후 본 지하가 침수분석모형 기술을 활용함으로써, 글로벌 스탠다드 방재분야 선도 기업으로서의 위상을 재고 할 수 있음

피해조사자동화기술개발 (국립재난안전연구원)

  • 재해현장 영상정보 촬영시스템의 표준화를 위한 기술과 디지털 현장 피해자료의 정확한 재해정보를 취득하기 위한 기술개발 
  • 재해현장 영상정보 촬영시스템의 표준화와 공공시설물의 국지 피해지역으로부터 보다 정확한 재해정보를 취득하여 객관적이고 신뢰성 높은 재해정보와 피해액 산정을 도모 
  • 피해 조사의 결과를 데이터베이스화 하여 피해정보의 유지관리가 용이하도록 하며 향후 복구계획에 환류토록 함 
  • 방재인력을 통한 피해조사를 자동화하여 객관적이면서도 신속하고 효율적인 선진화된 피해복구체계를 이룩하는데 앞장서고자 함

도시 지상 - 지하공간 침수예측모형
고도화 및 연계환경 개발 

  • 최근 기후변화로 도시지역의 호우증가로 피해가 증가하고 있으며, 지상공간뿐만 아니라 최근 대형화되는 지하공간에도 많은 침수피해가 발생 
  • 최근 대형-복합 네트워크 지하공간의 개발로 지상공간 침수류가 유입되는 지하공간 침수피해가 발생하고 있지만, 이를 해석할 수 있는 상용화 모형 부재 
  • 지상 및 지하공간 침수해석모형의 기능분석을 통해 고도화를 수행하고 지상공간 침수해석모형과 지하공간 해석모형의 연계해석 알고리즘 개발을 통한 지상-지하통합 침수해석 모형 개발

산지하천 1차원 하상변동 실무를 위한 

설계가이드라인 개발

  • 중간산지 하천 특성을 고려한 설계기법 전무한 실정 
  • 상·사류 혼재 흐름에 대한 국내 하상변동 모듈 전무 국내 하천계획 수립 시 정확성을 개선하기 위해 산지하천 및 하상변동에 대한 국산화 모형 개발이 필요한 실정 
  • 산지하천 하상특성을 고려한 1차원 상·사류 혼재 홍수추적 모듈 개발
  • 하상변동 모듈의 개발 및 사용자 편의성을 고려한 운영지침 개발

산지하천 1차원 하상변동 실무를 위한 

설계가이드라인 개발

  • 중간산지 하천 특성을 고려한 설계기법 전무한 실정 
  • 상·사류 혼재 흐름에 대한 국내 하상변동 모듈 전무 국내 하천계획 수립 시 정확성을 개선하기 위해 산지하천 및 하상변동에 대한 국산화 모형 개발이 필요한 실정 
  • 산지하천 하상특성을 고려한 1차원 상·사류 혼재 홍수추적 모듈 개발
  • 하상변동 모듈의 개발 및 사용자 편의성을 고려한 운영지침 개발

Disaster R&D

위기의 순간에도 믿고 의지할 수 있는

국민의 든든한 방재 파트너, (주)방재안전기술원입니다.

돌발홍수 안전진단시스템 (한국토지공사)

  • 기존의 정적인 하수관망해석 기법에서 벗어나 단지내의 지표수의 거동과 하수관망 거동을 동시에 해석 가능한 돌발홍수 안전진단시스템을 개발
  • 개발된 돌발홍수 안전진단시스템을 지형정보시스템(Geographic Information System, GIS)과 단지설계시스템과 연계 모의하여 현재 하수관망해석기법에 대한 문제점 및 개선방안을 제시

극한호우 지하가 침수진단모형 (삼성건설)

  • 계획 규모 이상의 극한 호우가 발생하면, 관거 통수능부족으로 인한 우수범람 및 지하가 침수는 필연적임
  • 극한호우가 야기 시키는 침수특성, 즉 침수범위, 침수심, 침수지속시간 등에 대한 고찰을 통하여, 상황 별 침수특성, 피해경감대책의 효과, 건물 내 침수전파상황 등을 검토, 이에 대한 경감대책 및 대피기준을 수립하기 위한 기술을 개발 
  • 본 기술은 국내에서는 처음으로 시도 및 구축되는 최신 도시홍수 방재기술임 
  • 향후 본 지하가 침수분석모형 기술을 활용함으로써, 글로벌 스탠다드 방재분야 선도 기업으로서의 위상을 재고 할 수 있음

피해조사자동화기술개발 (국립재난안전연구원)

  • 재해현장 영상정보 촬영시스템의 표준화를 위한 기술과 디지털 현장 피해자료의 정확한 재해정보를 취득하기 위한 기술개발 
  • 재해현장 영상정보 촬영시스템의 표준화와 공공시설물의 국지 피해지역으로부터 보다 정확한 재해정보를 취득하여 객관적이고 신뢰성 높은 재해정보와 피해액 산정을 도모 
  • 피해 조사의 결과를 데이터베이스화 하여 피해정보의 유지관리가 용이하도록 하며 향후 복구계획에 환류토록 함
  • 방재인력을 통한 피해조사를 자동화하여 객관적이면서도 신속하고 효율적인 선진화된 피해복구체계를 이룩하는데 앞장서고자 함

도시 지상 - 지하공간 침수예측모형 고도화 및 연계환경 개발

  • 최근 기후변화로 도시지역의 호우증가로 피해가 증가하고 있으며, 지상공간뿐만 아니라 최근 대형화되는 지하공간에도 많은 침수피해가 발생 
  • 최근 대형-복합 네트워크 지하공간의 개발로 지상공간 침수류가 유입되는 지하공간 침수피해가 발생하고 있지만, 이를 해석할 수 있는 상용화 모형 부재 
  • 지상 및 지하공간 침수해석모형의 기능분석을 통해 고도화를 수행하고 지상공간 침수해석모형과 지하공간 해석모형의 연계해석 알고리즘 개발을 통한 지상-지하통합 침수해석 모형 개발

산지하천 1차원 하상변동 실무를 위한 설계가이드라인 개발

  • 중간산지 하천 특성을 고려한 설계기법 전무한 실정 
  • 상·사류 혼재 흐름에 대한 국내 하상변동 모듈 전무 
  • 국내 하천계획 수립 시 정확성을 개선하기 위해 산지하천 및 하상변동에 대한 국산화 모형 개발이 필요한 실정 
  • 산지하천 하상특성을 고려한 1차원 상·사류 혼재 홍수추적 모듈 개발 
  • 하상변동 모듈의 개발 및 사용자 편의성을 고려한 운영지침 개발

생태천변저류지 설치 및 운영기법 개발

  • 강변저류지는 하천연안 저지대를 이용하여 기존 제방의 일부 구간에 월류부를 설치하고 계획홍수 초과 또는 일정 수위 이상 발생시 이를 저류함으로써 하류의 홍수량을 경감시키는 시설임 
  • 강변저류지 계획에 있어 강변저류지 최적위치 및 규모의 산정은 기본적인 사항이며, 강변저류지 홍수조절능력에 대한 정량적인 분석을 위하여 하도(1차원)-저류지(2차원) 수리모형을 개발 
  • 강변저류지의 종합적인 조성기준/평가기준/관리기술을 집대성하여 강변저류지의 계획, 시공, 유지관리 시 참고할 수 있는 가이드라인 제시


개인정보처리방침            이용약관           

COPYRIGHT (C) (주)방재안전기술원 All Rights Reserved.




개인정보처리방침            이용약관           COPYRIGHT (C) (주)방재안전기술원 All Rights Reserved.